1. 최초의 인간조각상은 기원전 24천~22천년대에 제작 됐을 것으로 추정
2. 오스트리아 빌렌도르프에서 발견되어 빌렌도르프 여신 또는 빌렌도르프 비네스라 불림
3. 최초의 인간상은 다산과 풍요의 상징. 즉 성스러운 어머니 대모신, 대지의 여신을 재현
4. 대모신 개념은 그리스, 로마시대에 확립됐으나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대모신 숭배가 억제됨
5. 모계사회는 평화롭고 예술적이고 비교적 평등. 농업과 토기, 직조 기술이 발달
6. 모계사회는 심기 의례, 수확 의례 등 종교 의례를 만듦 (현재도 신과 인간의 통로가 여자가 많음)
7. 가부장제는 전쟁과 함께 등장했고 아들에게 재산상속을 위해 여성의 성을 통제함
8. 남성의 신성화가 생기기 시작했고 신은 백인 노인으로 상징됨. 즉 남성이 신성과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
9. 현대의 여신은 관음보살과 성모마리아가 있음
10. 이집트 예술은 지배자의 사후영생에 관심이 있었고 예술품은 대개 파라오 무덤에서 발굴
11. 이집트 예술은 영원성을 확보하려는 예술임
12. 이집트는 종교와 정치가 일치하는 신정정치임. 그래서 파라오는 왕 또는 신으로 여겨짐
13. 농사가 주사업이었으므로 태양신을 숭배했고 파라오는 태양신의 아들임
14. 이집트 조각상은 신분에 따라 크기를 달리했음
15. 정면을 보는 시선과 경직된 자세로 표현하여 영원성을 상징
16. 머리 앞뒤를 보여주며 측면을 묘사하면서 눈은 정면을 향해 피카소의 방식이 발견 됨
17. 이집트를 지나 그리스의 인물상으로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이 있음
18. 신체의 무게중심을 옮기는(몸의 무게를 한 다리에 싣는 자세) 콘트라포스토가 강조됨
19. 그리스는 누드를 도입하여 누드는 야만이 아니라 문명의 상징이 됨
20. 이집트가 영생을 추구한다면 이집트는 현재의 순간을 포착
21. 건강하고 아름다우 신체는 내면의 아름다움까지 표현하다고 생각함
22. 초기에는 남자의 누드로 한정되었으나 기원전 4세기 부터 여성 누드도 많아짐
23. 대표적으로 밀로의 비너스와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가 있음
24. 마찬가지로 코트라포스토가 강조됨
25. 남자 누드상으로는 라오콘이 있으며 해부학적 사실주의와 격렬한 감정표현이 압권임
26. 헬레니즘 시기 미술은 종교성, 보편성보다 개별성에 관심
27. 그리스를 지나 로마 예술은 헬레니즘의 사실주의를 물려받음. 주름이나 점 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
28. 그리스는 신화적 인물이 많다면 로마는 현실적 인물이 대상임
29. 공공예술의 성격을 가지기 시작함
30. 대표적으로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있으나 절대권력을 쥔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실주의 기법은 맞지 않음
31. 아우구스투스에게는 고대신화의 갑옷과 큐피트와 돌상어가 있어서 역사와 신화 모두를 표현
32. 알레고리(비유적 표현. 즉, 큐피트나 돌상어를 등장시키는 방법) 수법이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