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마니타스

한국의 역사,문화 그리고 한국인 1

반응형

2차시: 공공성의 역사

공공성의 개념:

  • 정의: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 공정성과 공익과 관련이 있으며, 한 나라의 정치적 성숙과 역량의 척도임.

정부의 수탈:

  • 세금 착취: 정부가 백성을 희생시키면서 세금을 거둠. 방백 수령들은 백성들을 착취함.
  • 특권 허용: 몇몇 사람들에게 특권을 허락해 줌.
  • 방백 수령의 착취: 지방 관리들이 백성을 착취하고 저항권과 왕에게 올리는 상소로 제약을 받음.
  • 정부의 부패: 재판의 부패, 감옥의 실상, 고문과 교수형이 자행됨. 공중 위생 문제: 도심의 하수, 악취, 콜레라 발생. 관리와 군인들이 뇌물을 받아 규칙을 어기는 문제.

공공성의 지향:

  1. 공정한 인사와 상벌:
    • 과거제도: 능력 본위의 관리 임용 제도. 과거시험의 형식성과 뇌물 문제로 인해 공정성이 저해됨.
    • 형식적 과거제도: 과거제도가 형식적으로만 운영되면서 공정한 인사와 상벌이 이루어지지 않음.
  2. 공공 교육 실시:
    • 교육 강화: 문인계급을 형성시키고, 비판적인 선비들을 양성하는 공공 교육.
    • 조정의 지원: 많은 학교가 조정의 지원을 받으며, 교육을 통한 사회적 이동 가능성.
  3. 한글 창제:
    • 백성을 위한 창제: 한글 창제를 통해 백성들의 교육과 소통을 촉진.
    • 실용성과 간결함: 한글의 실용성과 간결함에 대한 찬탄.
  4. 복지 제도:
    • 구황, 구빈 제도: 세종의 복지 정책, 약자를 위한 제도.
    • 격쟁: 왕과 백성의 소통 수단으로서 격쟁, 상언 등의 제도.

왕과 백성의 소통:

  1. 신문고:
    • 백성의 소청: 백성의 소청을 왕이 직접 들을 수 있도록 함. 태종과 세조 시기의 시행과 철회 과정.
  2. 잠행:
    • 왕의 변장: 왕이 변장을 하고 백성의 집을 찾아가는 방식. 백성들의 불만을 직접 청취.
  3. 암행어사:
    • 암행어사의 역할: 암행어사를 통해 주민의 반응을 살피고 문제를 해결.

 

3차시: 민주주의의 역사

민주주의의 개념:

  • 정의: 민주주의는 국민이 주권을 가지며, 정치적 결정에 참여하는 체제.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통해 그 발전 과정을 이해함.

서구의 편견:

  • 서구 중심주의: 민주주의는 서구 사회의 산물이라는 편견. 한국의 전통에서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찾을 수 없다는 주장.
  • 김대중의 반박: 아시아와 한국의 역사와 전통에서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과 유산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 동학, 3.1운동, 4.19혁명, 부마와 광주의 항쟁 등을 그 근거로 제시.

아시아적 가치 비판:

  • 개발독재 옹호론: 아시아적 가치는 개발독재를 옹호하며, 민주주의는 서구의 가치라는 전제에 대한 비판.
  • 비민주성: '한국적 민주주의' 등의 수식어가 붙는 민주주의의 비민주성과 연관됨.

유교와 민주주의:

  • 유교의 애민과 민본: 유교의 애민과 민본 사상이 민주주의와 연결됨.
  • 알렉산더 우드사이드의 주장: 한국이 중국, 일본보다 더 유교적이라 민주화운동이 활발했다고 주장. 18세기 조선 인구 대비 서원의 수가 중국의 10배 이상.

민란의 의미:

  • 민란과 폭동: 민란은 단순한 폭동이 아닌 민치(민주정)의 의미를 가짐. 민주주의 초기에는 폭동과 유사하게 여겨짐.
  • 민주주의와 민란: 민중의 압제와 법치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기도 함.

한국의 민주화 운동:

  1. 동학 운동:
    •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봉건적 억압과 외세의 침탈에 대항하여 일어난 민주주의 정신의 초기 사례.
    • 민주주의 정신: 동학 농민 운동을 통해 민중의 힘과 민주주의 정신을 보여줌.
  2. 3.1 운동:
    • 1919년 3.1 운동: 일제 식민지배에 저항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독립운동.
    • 민주주의와 민족 자결: 한국인의 민주주의와 민족 자결의식을 고양시킴.
  3. 4.19 혁명:
    • 1960년 4.19 혁명: 이승만 독재에 맞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일으킨 혁명.
    • 민주주의 발전: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됨.
  4. 부마항쟁과 광주항쟁:
    • 1979년 부마 민주항쟁: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운 민주화 운동.
    •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운 민주화 운동으로, 이후 민주주의 정착에 큰 기여를 함.

 

 

4차시: 공화주의의 역사

공화주의의 개념:

  • 정의: 공화주의는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정치 체제. 한국 역사에서 공화주의의 발전 과정을 탐구함.

공화주의의 역사:

  1. 조선시대의 공화주의:
    • 조선의 정치 체제: 조선시대의 정치 체제는 공화주의적 요소를 포함함. 왕과 신하 간의 소통과 협의를 통해 공공의 이익을 추구함.
    • 향약과 향교: 향약과 향교를 통한 지방 자치와 교육의 중요성. 공동체의 발전과 공공의 이익을 중시함.
  2. 근대 한국의 공화주의:
    • 개화기와 공화주의: 개화기에는 서구의 공화주의 사상이 유입되며, 근대적 정치 체제로의 전환이 시도됨.
    • 독립협회와 공화주의: 독립협회를 통한 공화주의 사상의 확산과 자치적 정치 체제의 구축.
  3. 현대 한국의 공화주의:
    •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현대 한국의 민주주의 체제는 공화주의적 요소를 포함함.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정치 체제.
    • 시민사회와 공화주의: 시민사회를 통한 공화주의 사상의 실현. 시민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공공의 이익을 추구함.

공화주의의 주요 인물:

  • 조선시대의 공화주의자들: 조선시대의 학자들과 정치가들 중 공화주의적 사상을 지닌 인물들.
  • 근대와 현대의 공화주의자들: 근대와 현대 한국의 정치가들 중 공화주의적 사상을 지닌 인물들.

 

 

 

5차시: 진보와 보수의 역사

진보와 보수의 개념:

  • 정의: 진보와 보수는 정치적 이념의 양 극단을 나타내며, 사회 변화와 개혁을 중시하는 진보와 전통과 안정을 중시하는 보수로 나뉨.

한국 정치사에서의 진보와 보수:

  1. 조선시대의 진보와 보수:
    • 사림과 훈구: 조선시대의 사림과 훈구의 대립. 사림은 진보적 개혁을 추구하고 훈구는 전통과 안정을 중시함.
    • 사화와 당쟁: 사림과 훈구 간의 사화와 당쟁을 통해 진보와 보수의 대립이 나타남.
  2. 근대 한국의 진보와 보수:
    • 개화파와 위정척사파: 개화파와 위정척사파의 대립. 개화파는 서구 문물의 수용과 개혁을 추구하고 위정척사파는 전통과 안정을 중시함.
    • 독립운동과 정치 이념: 독립운동 과정에서 진보와 보수의 이념적 대립이 나타남. 진보는 민족 해방과 사회 개혁을 중시하고 보수는 전통과 질서를 중시함.
  3. 현대 한국의 진보와 보수:
    • 이승만과 진보: 이승만 정부 시기의 진보적 개혁과 보수적 정책의 대립.
    • 박정희와 경제 개발: 박정희 정부 시기의 경제 개발 정책과 진보적 개혁의 대립.
    • 민주화와 정치 이념: 민주화 이후 진보와 보수의 정치 이념적 대립. 진보는 사회 개혁과 평등을 중시하고 보수는 전통과 안정을 중시함.

진보와 보수의 주요 인물:

  • 조선시대의 인물들: 조선시대의 학자들과 정치가들 중 진보적, 보수적 이념을 지닌 인물들.
  • 근대와 현대의 인물들: 근대와 현대 한국의 정치가들 중 진보적, 보수적 이념을 지닌 인물들.

 

 

 

6차시: 시민과 시민운동의 역사

시민과 시민운동의 개념:

  • 정의: 시민은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지니며, 시민운동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활동을 의미함.

한국의 시민운동 역사:

  1. 조선시대의 시민운동:
    • 향약과 향교: 향약과 향교를 통한 지방 자치와 교육의 중요성. 공동체의 발전과 공공의 이익을 중시함.
    • 민란과 반란: 조선시대의 민란과 반란을 통한 시민들의 저항과 사회적 변화 추구.
  2. 근대 한국의 시민운동:
    • 독립운동: 일제 식민지배에 저항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독립운동. 3.1 운동과 같은 대규모 시민운동을 통해 민족 자결과 독립을 추구함.
    • 학생운동과 노동운동: 근대 한국의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통해 사회적 변화와 개혁을 추구함.
  3. 현대 한국의 시민운동:
    • 민주화 운동: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운 민주화 운동. 4.19 혁명, 부마항쟁, 광주 민주화 운동 등.
    • 사회운동: 여성운동, 환경운동, 인권운동 등 다양한 사회운동을 통해 사회적 변화와 개혁을 추구함.

시민운동의 주요 인물:

  • 조선시대의 인물들: 조선시대의 학자들과 정치가들 중 시민운동을 이끈 인물들.
  • 근대와 현대의 인물들: 근대와 현대 한국의 시민운동을 이끈 인물들.
반응형

'후마니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에 대하여  (0) 2024.10.15
설렁탕에 대하여  (0) 2024.09.26
육개장에 대하여  (0) 2024.09.26
을씨년 스럽다에 대하여  (3) 2024.09.22
한국의 역사,문화 그리고 한국인 2  (0)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