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뉴스

(247)
8월 2주차 업계동향 - 네이버 3번째 SNS 도전,, 이번엔 통할까: 디스코 일주일 사용자 약 5만 명 정도. 좋아요 싫어요에 따라 학습엔진이 고도화 돼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중심으로 보여주는 방식. 미투데이는 트위터에 밀렸고 폴라는 인스타에 밀리면서 디스코는 어찌 될지~ - AI로 다시 맞붙은 네이버vs카카오: 다 대충 아는 얘기고 카카오미니 스피커는 몰랐고 특히 카카오 모빌리티가 현기차와 협업해서 음성인식 솔루션을 공동개발 하기로 했고 ( 서버형 음성인식 ) 특히 제네시스 G70에 이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키트가 현실화 되는 것인가!! - 페이스북 뉴스피드, 로딩 빠른 사이트 먼저 보여준다: 로딩 포함해서 몇 가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보여준다고 함. 해당 페이지가 얼마나 무거운지 쓸대없는 플러그인이 많이 붙어있..
8월 1주차 업계동향 - 페이스북, 구글 순익 추월.. 네이버는?: 2분기 매출 ( 알파벳 260 , 페북 93 , 네이버 10 ) 동기 시총 ( 알파벳 6531 , 페북 4939 , 삼성전자 2991 , 네이버 239 ) - 페이스북 2분기 매출 10조 4380억. 월 사용자 20억 돌파: 2분기 수익은 4조 3천억, 전체 매출에 광고 매출은 91.6억 달러 ( 약 10조 2천억 ). 이 중 모바일 매출이 87% ( 약 8.9조 )
7월 3주차 업계동향 - 네이버 제국, 진짜 두려운 것은 이것이다.: 네이버 뉴스의 인바운드 링크 ( 언론사로 아웃링크 하지 않는 방식 ) 때문에 언론사들은 간접효과로 수익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 네이버는 대부분 검색매출이라고 맞받아 치고 있는 상황에서 연 200억 정도의 펀드 금액을 내겠다고 입장 제시. 이를 바라보는 미디어 언론사의 스탠스를 알 수 있는 기사다. 어쨌거나 언론사들의 거지같은 광고 좀 내려놓고 ( 악순환의 결과이겠지만 ) 독립하기 위한 노력을 얼만큼 했는지 반문 하고 싶음. - 페이스북 메신저 광고, 전세계 출시: 페이스북 메신저 사용자는 글로벌 12억명 ( 한국은 글쌔 통계가 )인데 페북메신저 홈에서 광고가 노출 된다고 함. 헌데 암만 찾아봐도 안 보임. 아직 국내 적용은 안 됐는지 몰겠음.. 허나 국내는..
7월 1주차 업계동향 - 조단위 간편결제 시장 2차 전쟁 막 올랐나 - 네이버, 지식iN에 인공지능 봇 지식i 넣는다: 사용자간 QA를 기본으로 하나 지식i 봇이 질문 내용을 파악해서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과거 비슷한 질문을 찾아내고 채택 됐던 우수 답변을 보여주는 방식이라고 함. 지식iN 자문자답형 바이럴에 좀 변화가 생길지? - 구글이 타겟광고를 위한 이용자 이메일 스캔을 올해 말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지메일 사용자간 메일 내용을 읽어서 타겟광고에 활용했었는데 이를 그만하겠다는 내용 임.
6월 4주차 업계 뉴스 - ADX 넘을까... 크리테오, 온라인 광고 입찰 플랫폼 선봬: 익스체인지와 직접 계약을 맺은 경우 DSP 보다 더 먼저 프리미엄 광고를 선점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크리테오 다이렉트 비더 CDB 라는 광고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 CDB가 우선권이 있는 익스체인지 광고도 공정하게 입찰해서 결국에 매체사의 수익이 20%정도 더 올랐다고 ) 아.. 뭔가 이해가 잘 안된다.. 복잡하다.. - 야후, 역사속으로.. 美버라이즌에 최종 인수: 야후는 인수된 AOL과 함께 오스 (Oath) 라는 디지털 미디어 기업으로 본어게인 한다고 ( 허프포스트, 야후 스포츠, 테크크런치 등 ) 그래서 기존 야후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페북과 구글로 양분된 온라인 광고 시장에 뛰어 든다고 함. 2주만에 쓰는데 ..
6월 2주 업계 동향 - 버라이즌-야후 13일 통합: 버라이즌이 야후 인터넷사업부 통합을 마무리한다고 함. 그 후 약 2100명의 직원을 정리할 계획. 타게팅 광고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잠재성을 보고 추진한다고 합. - 전세계 기술 서비스 시장 싹쓸이 하는 5대 기업5대 기업 매출 구조.. - 네이버 검색 자동완성, 사용자 맞춤형 강화한다: 모바일에서 로그인베이스로 시간대별 자완검을 다르게 보여준다 이유 -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에 실시간 자막 입힌다: 페이스북 라이브에 장애인 차별 금지 방안으로 페북 라이브에 자막을 31일부터 미국에 시범 테스트 예정
6월 1주 업계동향 - 네이버, 카카오 망사용료 역차별 그만: 네이버, 카카오입장에선 억울 할 수도 있다. 같은 컨텐츠 제공사 입장인데 페북은 망사용료를 공짜로 해줄 수도 있다고 하고 자기네들은 돈을 내라고 그러니.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 보라. 컨텐츠 생산자가 있기에 고객이 있는거고 고객이 있기에 통신사업자들이 존속하는 구조를. 유튜브때와 마찬가지로 병X짓거리 하다가 또 엄한돈 나간다.. - 온라인 광고도 ASMR 2017년 1분기 유튜브 광고 탑 10: 김풍 육칼이 1등.. 오버워치가 2등.. ( 게임이 3개 ), 애플 아이폰 7이 5등.. 배달통 마블리가 10등 6월 1주는 그닥 쓸게 없구나..
5월 5주차 업계동향 - 삼성, 애플, 구글 이번엔 숙면 전쟁: 세계적으로 수면시장 ( 수면장애 치료, 보조기기, 수면용품 등 )은 40조 규모. 애플은 핀란드 스톼텁 베딧을 인수. 베딧의 기술이 애플워치 판매량을 증가 시킬 것으로. 구글은 생명공학 자회사 베릴리와 스마트홈 자회사 네스트에서 기술 개발 중. 삼성전자도 슬립센스를 개발. 사용자가 잠들면 티비를 끄고 실내 온도를 에어컨으로 조절해 준다고, - 메리츠화재, 디지털을 입다.: 캐릭이름이 몬디였다 ( 모바일과 다이렉트의 합성어 ). 15년 자동차보험시장 전체규모 13조. 이중 다이렉트 시장은 약 38% 정도. 총 1457만대의 자동차보험 가입 중 다이렉트 가입이 44% 정도. [ 카카오뉴스 모음 ]- 카톡으로 물건 사는 '카카오톡 스토어' 어떻게 운영되나: 카카오플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