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뉴스

(247)
5월 4주차 업계동향 - 온라인 광고 업계, 7월 시행 방통위 가이드라인에 울상 : 글쎄.. 어떻게 적용될지는 아직 상이 없어서 좀 막연한 느낌. 아니면 광고 아이콘 랜딩에 위 내용을 추가 하는 수준이라면 별 영향은 없을 수도. - 쿠키없는 광고추적, 비용 줄이고 수익 늘린다.: 텍스트는 이해 되는데, 그림은 그려지지 않는다. 여하튼 쿠키란 물증을 다른 몇 가지 물리적 정보로 추정을 한다고 하는데 정합성은 96% 이상이라고. 고객의 메트릭스 퍼널을 분석하기 위해 특정 애드아이디를 부여하고 이는 한 사람이 멀티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애드아이디가 연결되어 동작 하는 구조. 기기, OD, 브라우저, IP주소 등등을 포함한다고 함. ( 참고로 쿠키는 매달 3할 정도가 삭제 된다고 ) - 배달앱까지 넘보는 페이스북: 미국에서..
5월 3주차 업계동향 - 광고 범벅 언론사 홈페이지, 페이스북이 막는다?: 한마디로 광고도배 사이트는 페북 피드에서 노출을 제한시키고 광고도 줄이겠다는 것. 비뇨기과 등 성인용품 싼마이 배너들이 덕지덕지 붙은 언론사들이 많은데 이런 사이트는 바로 적용 될 듯. 허나 시스템 적용 시점은 아직 페북 코리아도 모른다고 - 페이스북, 고객 볼모로 통신망 공짜로 내놔라: 유튜브랑 똑 같은 사태. 페북이 최근 동영상 소비가 늘면서 트래픽이 증가하니 국내 망사업자에게 원할한 서비스제공을 위해 캐시서버를 증설해라는 요청을 했고 통신사들이 뺀지놓으니 페북은 인터넷 전송 경로를 바꿔서 접속이나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 통신사들 병sin 짓거리 좀 그만.. 제목이 한 쪽으로 기울었는데 유튜브 사례는 여기 웹툰을 참고 - http:/..
5월 2주차 업계동향 - 900조 모바일 결제 시장 잡아라.. LG, 구글도 페이 경쟁 가세: LG페이 곧 출시, 구글 안드로이드 페이도 곧 출시 예정 - 페이스북 이용자 20억명 돌파: 제목만 보면 돌파 한 것처럼 보이지만 낚시다. 허나 곧 목전에 두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1분기 기준 19억 4천만명. 2분기에는 돌파 할 것으로 예상. 그리고 같은 콘텐츠를 중복 생산, 및 공유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가짜계정을 걸러내는 알고리즘을 반영한다고
5월 1주차 업계뉴스 - 네이버는 왜 사업영역 분류를 바꿨을까: 검색광고를 비지니스플랫폼영역으로 분리해서 실적을 발표 함. 이는 네이버가 국내 광고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위한 측면과 네이버 쇼핑, 페이, 클라우드 등 기존 광고와는 차별화가 필요하고 비지니스 플랫폼은 광고주와 판매자들의 비지니스 전략과 이용자들의 정보 탐색, 상품 비교 수요를 검색을 중심으로 연결해 주는 것이라고 설명..
4월 4주 업계뉴스 - AI시대 카카오의 해법, 스피커-챗봇: 카카오도 AI 스피커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함. 집에서는 스피커로, 밖에서는 스마트폰 앱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고객을 유지할 생각. 카카오 택시, 톡, 멜론, 쇼핑, 배달, 등등 카카오 O2O 서비스들이 AI를 통해 스피커와 앱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하면 엄청난 포텐이 있을 거라고 보고 있음. 현재 카카오 브레인이라는 별도 법인을 만들어서 연구 중 ( 서울대, 카이스트, 아산병원 등 50명 구성의 딥러닝 연구 초지능 연구센터를 가동 중이라고 ) - 네이버쇼핑 오픈마켓 재도전? G마켓 11번가 긴장: 네이버가 작년 11월 쇼핑 검색광고를 출시한 이후 스토어팜이 잘 성장하고 있고 쇼핑도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쇼핑 광고 개발, 쇼핑 플랫폼 개발, 쇼핑 기획, 네..
4월 3주 업계뉴스 - 네이버는 왜 검색+AI에 공을 들일까: 간결하다. 검색은 네이버의 어제와 오늘을 지탱해준 워천이기 때문. 예컨대 논물을 위해 검색하는 대학원생의 이순신과 학교에서 숙제를 내기 위해 검색을 하는 초딩의 이순신 검색결과는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즉 개인화, 맞춤화의 수준의 정도. 이에 '에어스(눈에보이지는 않지만 생명유지에 절대적인 공기처럼)'는 질문하지 않더라도 빅데이터와 딥러닝으로 미리 후속 질문을 예측하고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뉴스, 스포츠에 일부 베타적용 시켰다고,, 추후 사진과 AI를 결합하여 사진을 찍어 올리면 해당 상품을 찾아 주는 서비스도 오픈 할 예정이라고.. 이러한 고도화가 결국 구글과 페북과 경쟁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 - 모바일시대에 PC화면 넓힌 네이버와 다음: 그렇네..
4월 2주 업계뉴스 - 카톡기반 카카오뱅크 6월 출범... 케이뱅크와 경쟁 나선다: 금융위 은행업 본인가를 받으면서 카톡을 기반으로한 본격 은행 사업을 전개할 것이라고 함. 카톡 기반의 초간편 이체 서비스와 해외송금시 이체 수수료는 기존 시중은행의 10% 정도로 가능토록 한다고 함. 또한 앱투앱 서비스로 카드 수수료 기존 3~4%도 대폭 낯출 예정이라고 - 네이버, 영업이익 1조원 돌파.. R&D 박차: 계열사 62개, 16년 매출 4조, 영업이익 1조 돌파. 네이버 매출의 76%가 광고. 나머지가 콘텐츠와 기타 매출.. 번역앱 파파고, 음성인식 대화 시스템 아미카, 자율주행 기술, 3D 실내지도 제작 로봇 M1 등.. 포털에서 IT기술혁신 기업으로 공격적 투자 중.. - 네이버, 검색엔진 강화 나선 이유: 기존 검색서비스..
4월 1주 업계뉴스 - 방통위, 종편 미디어랩 3사 5년간 재허가: JTBC미디어컴, TV조선 미디어렙, 미디어렙A 5년간 재허가 - 삼성, 구글, 페이스북, 360도 동영상에 공들이는 이유는?: 가상현실 기기 확장과 관련이 깊은데, 현재 게임으로 한정된 증강현실용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촬영한 360도 동영상으로 보완할 수 있기 때문. 360도 동영상은 가상현실의 관문이라 표현하면서 가상현실 기기의 잠재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함 - 네이버 사업보고서 ( 인포그래픽 )1) 기업 재무분석 2) 임원 현황

반응형